1995
첫번째 혈관성형술 학회(Angioplasty Summit)가 서울아산병원의 대강당에서 개최되었습니다.
1997
미국 Cardiovascular Research Foundation (CRF)의 Chief Medical Official인 게리 민츠가 조직위원회에 참여하였습니다.
2000
한국에서 최초로 미국 TCT학회에 경피적 중재술을 위성 중계로 송출하였습니다.
2001
말초 혈관 중재를 포함한 심혈관에 관련된 폭넓은 주제들이 다뤄졌습니다.
2002
심장혈관연구재단(CVRF)이 설립되었고, 관상동맥 중재시술 국제학술회의(TCTAP)가 심장혈관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체계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했습니다.
2003
전문가 교육 및 전 세계의 연구자, 의료인, 업계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Summitmd.com를 개설하였습니다.
2004
약200명의 팩컬티를 포함한 전세계에서 참여하는 2,000여명의 참가자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학회장을 서울 워커힐 쉐라톤 호텔로 확장 이전하였습니다. 채택된 초록이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vascular Intervention (IJCI)의 특별판으로 출판되었습니다.
2005
10주년을 맞이하여 미국의 Cardiovascular Research Foundation(CRF)와의 공동 후원 하에 학회명을 Angioplasty Summit-TCT Asia Pacific으로 변경하였습니다. EuroPCR을 포함한 다양한 해외 그룹들이 학술 프로그램 개발에 참여하기 시작했습니다. 초록이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AJC)에 출판되었습니다.
2008
두번째 좌주간부와 분지 학회(Left Main and Bifurcation Summit)가 제13회 혈관성형술 학회(Angioplasty Summit)와 함께 열렸습니다.Endovascular Arena에서 혈관 분야의 흥미로운 주제와 새로운 기기, 임상 결과를 다루었습니다.
2010
학회명을 혈관성형술 관상동맥 중재시술 국제학술회의(ANGIOPLASTY SUMMIT-TCTAP)로 변경하였습니다. 앞서가는 중재 심장학 학회로서 증거 기반 실습에 뿌리를 둔 FFR 및 TAVI에 대한 신흥 분야와 관심도 높은 주제가 논의되었습니다.
2011
환자 치료의 기본 원칙을 이해하고 적용하며 각 주제에 대한 최신 개념과 지식을 얻어야 하는 펠로우, 젊은 심장 전문의 및 모든 건강 관련 전문가를 위해 TCTAP Fellowship Course가 시작되었습니다. 심혈관 의학 분야와 TCTAP의 성장에 의미 있는 공헌한 분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제1회 TCTAP “Master of the Masters”가 수여되었습니다.
2012
Partnership Session with Global Societies에 더 많은 글로벌 파트너들이 참여하였습니다. 한국에서 처음으로 신장 신경차단술 및 경피적 대동맥 판막 치환술 (TAVI)의 라이브 시연이 수행되었습니다.
2013
강의, 사례연구, 라이브 시연으로 구성된 CTO LIVE가 개최되었습니다.
젊은 임상 연구자들을 독려하기위해 TCTAP 젊은 과학자 상”(Best Young Scientist Award)이 새롭게 창설되었습니다.
2014
18개국 45개 글로벌 파트너와 학회들이 프로그램 구성에 참여했습니다.
심사를 거쳐 채택된 모든 초록이 미국 심장학회지(JACC)의 증보판 온라인 형식으로 출판되었습니다.
2015
TCTAP 학회가 20주년을 맞이했습니다.
2016
유용한 정보와 소중한 순간들을 공유하기 위해서 심장혈관연구재단의 공식 Facebook 페이지를 신설하였습니다. 온라인을 통해 참가자들이 강의와 라이브 시연을 시청할 수 있도록 웹캐스트 서비스를 런칭하였습니다.
2017
학회를 통해 CTO, Endovascular, Coronary, Valve를 포함한 다양한 흥미로운 주제들을 다루었습니다.
참가자들이 시공간적 제약없이 자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포스터 초록 세션에 디지털 형식을 도입하였습니다. 또한, TCTAP 요약 인터뷰를 웹캐스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시청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2019
참석자들에게 기초강의, 실습교육 등 실무적인 학습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 후원사에서 운영하는 트레이닝 코스를 확대하였습니다.
ACT Program 1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ACT 홈커밍 세션이 마련되었습니다.
2020
TCTAP학회가 코로나 시국으로 인해 단절된 교육 기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AP VALVES학회와 통합하여 온라인으로 개최되었습니다.
온라인 학회의 단점인 소통 기능의 부재를 보완하고자 국내외 각분야 전문가들을 라이브 채팅 토론자로 초청하여 참가자들이 적극적으로 Q&A를 할 수 있도록 '라이브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2021
온라인 상의 소통 강화를 위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등의 공식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채널을 개편 및 개설했습니다.
국내외 참가자들 중 “Social Media Ambassador”을 선정하여 SNS 공식 계정에 사진, 동영상, 하이라이트, 흥미로운 콘텐츠를 게시하는 등 온라인 소통 및 정보 공유의 기회를 확대하였습니다.
2022
계속되는 온라인 학회의 지루함을 덜고 최신 트렌드를 반영하고자 메타버스 컨셉을 홈페이지에 접목해 관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했습니다. TCTAP학회에 대한 흥미로운 콘텐츠를 제공하고, 공간의 제약 없이 서로 소통할 수 있는 기능을 제시할 수 있었습니다.
2023
TCTAP학회가 지난 3년간의 온라인 학회 이후 하이브리드 형식으로 개최되어 온라인 참가자와 현장 참가자 모두에게 새로운 형태의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제공했습니다.